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면서 정치적 난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미군이 그동안 미국에 협조적이었던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을 한국 내 미군기지에도 수용하기로 함으로써 한국 사회도 무슬림 난민을 두고 찬반 양론으로 갈라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사태의 근원은 2001년의 9ㆍ11테러로 거슬러 간다. 9ㆍ11테러는 알카에다가 벌였고 알카에다의 수장인 오사마 빈 라덴은 아프가니스탄에 은신해 있었다. 당시 아프가니스탄은 탈레반 정권이었다. 미국은 오사마 빈 라덴의 신병 인도를 요청하였지만 탈레반 정권은 이를 거부해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공습이 시작되었고 2001년 11월 탈레반 정권이 붕괴되었다. 이후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에 친서방 민주 정부를 수립하였으며 탈레반은 남부 산악지대에 거점을 잡고 게릴라 전투를 ..

올해는 8월 하순부터 유난히 비가 오는 날이 많았다.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이 시기에 연일 비가 오는 현상을 통상 가을장마라고 한다. 7월에 오는 여름 장마도 불쾌지수를 높이지만 8월 하순에서 9월 중순까지 이어지는 가을장마도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가져다 준다. 금년은 특히 가을장마가 지속되는 기간도 길고 강수량도 많아 수확기를 앞두고 농작물 피해까지 우려된다. 장마는 동부 아시아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기상 현상이다. 즉, 태평양의 뜨거운 공기가 북상하다가 아시아 대륙 고위도에 자리 잡은 찬 공기가 만나서 장마전선이 만들어지며, 이 장마전선이 두 기단의 세력에 따라 남북을 오가면서 장기간 비를 내리는 것이 장마이다. 그러다가 7월 하순이 되면 태평양의 뜨거운 공기가 세력을 확장해 장마전선을 시베리아까지..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다시 녹조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대강 유역과 대청호를 비롯한 대형 저수지에 녹조 발생이 증가하면서 환경과 건강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녹조는 자연현상이지만 사회현상이기도 하다. 녹조는 푸른 빛을 띄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파래, 청각 등이 대표적인 녹조다. 녹조는 물보다 비중이 낮아 물 위에 뜬다. 따라서 녹조가 증가하면 호수 표면이 푸른색을 띄게 되고 햇빛이 물로 투과되지 못해 물속의 산소 용존량이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물속에 생명체가 살기 어려워 물고기 등이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듯 녹조는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녹조는 환경문제이지만 그 발생 원인은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다. 우선, 녹조도 영양공급을 받아야 살 ..

코로나가 지속 되면서 모든 사람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히 펜데믹이라고 할 만하다.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국민재난지원금이라는 명목으로 모든 국민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기도 한다. 그러나 바이러스와 그로 인한 영향력은 공평하지 않고 차별적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이 아니다.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 사는 사람이나 대인관계가 많은 사람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크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대인 관계에서 전파되기 때문에 대도시에서는 코로나 감염이 많이 일어나는 반면 농촌이나 작은 섬과 같은 소규모 사회에서는 감염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같은 이유로 직업별로도 코로나 감염은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서비스업 종사자와 ..
- Total
- Today
- Yesterday
- 채용비리
- 코로나19
- 수요칼럼
- 농협중앙회
- LG
- 기획
- 재난
- 이성희회장
- 한국재난뉴스
- 교수칼럼
- 김정태
- 우리은행
- 세무조사
- LG디스플레이
- 갑질
- 화재
- 중대재해법
- 하나금융그룹
- 논란
- 횡령
- 함영주
- 하나은행
- 창간
- BHC
- 국정감사
- 전문가기고
- 칼럼
- 구광모
- 하나금융
- 오너리스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