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사진_이성희 농협중앙회 회장



[한국재난뉴스_기자수첩] 취임 2년차를 맞고 있는 이성희 회장이 벌써부터 올해 국정감사장에 설 것이라는 업계의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 교체와 맞물려 이성희 회장에게 강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농협중앙회의 관리감독 능력에 대한 의심스러운 사태들이 지속적으로 터져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초부터 잇따라 발생한 축협 횡령 사건이 대표적이다. 실제 지난 5일 장흥축협에선 직원이 공금 4억6000만원을 횡령하다 적발됐으며 지난 2월에는 수원축협에서 지점 직원이 3년간 8억원에 달하는 현금을 본인 계좌로 빼돌렸다 적발됐다. 1달전인 1월에는 청송영양축협 직원이 6억2000만원을 횡령했다.



특히 최근 불거진 장흥축협 횡령사건에서는 직원이 횡령에 대한 정황을 윗선 간부에게 보고했지만 주도적으로 이를 축소ㆍ은폐하려 한 정황마저 드러나 논란이 더해졌다.



이 정도의 횡령규모와 빈도는 도대체 농협중앙회의 관리 시스템과 축협의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한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직원 한 명이 수억원을 빼돌린 일이 한 번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 내부 직원 단독으로 벌인 일이라는 사실도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내부 직원의 횡령 사건은 축협 및 농협중앙회에 가히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는 리스크를 초래한다. 회사 이미지 실추와 더불어 국민들의 신뢰를 찾기도 더욱 힘들다. 특히 축협을 관리 감독해야 하는 농협중앙회 역시 제 역할을 위한 장치 마련에 힘을 써야 한다는 질책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오히려 이성희 회장이 올해 국정감사 출석을 통해 리스크에 정면돌파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이성희 회장은 국정감사에서 도시지역 농축협의 경제사업 부실 등으로 한 차례 질타를 받았던 바 있다. 그렇다고 혹여나 올 국감에 대리인 출석이나 불참 등으로 우회로를 택하기엔 리스크가 크다. 국정감사 소환으로 이성희 회장이 부족했던 면엔 질책을 받고 향후 개선의지를 보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겠다.



농협의 관리ㆍ감독 부실 논란과 이성희 회장의 책임론이 함께 일고 있는 가운데 올해 국정감사에서 이성희 회장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선 의지를 약속할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원본:https://www.hj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92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